연금저축펀드를 ETF로 결정한 이유?(TIGER200 매수)
연금저축펀드 ETF
TIGER 200
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
연금저축펀드를 활용하여,
투자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이 들어
어제(9월 21일(월))부터 매수를 시작했습니다.
20대에 연금저축펀드를 시작한 이유
1. 연말정산세액공제 혜택
- 사실 연말 정산에 대해 직장인이면 모두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.
수 많은 항목들이 있는 데 막상 내가 적은 공간은 신용카드, 체크카드 내역, 주택청약, 기부금 정도로
매우 한정적인 항목을 통해 세액공제를 받는다.
- 연금저축과 관련된 항목(섹터)에 내용을 기입함으로써 세액공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400만 원 납입시
66만 원을 환급 받을 수 있다.(제 연봉 기준)
2. 투자수익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
- 금융상품을 통한 이자수익 및 배당 수익을 받으면 15.4%의 금융소득세를 납부해야하는 데
세금 부과가 연기
납부 세금 3.3%~5.5%
- 10년 이상 장기 투자시 납부할 세금이 매우 적어질 수 있음.
장기적으로
국내 / 해외 인덱스(시장 지수)는 우상향했기 때문에
장기상품으로
가입하는 데 이점이 있음
3. 자유납부
- 여유 자본이 생기면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고,
목돈이 필요할 경우 자유롭게 출금할 수 있음.
- 이해가 잘 안 될 수 있는 데 매년 400만 원은 연말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400만 원까지는 16.5%
기타소득세를 부과하지만, 400만 원 이외의 금액은 기타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음.
왜 연금저축펀드를 ETF로 결정했나?
1. 해외ETF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ETF를 매수
- 해외 ETF(DIA, VOO, SPHD, QQQ)를 매수하고 있지만, 국내 ETF가 부재하기 때문
- 미국, 유럽, 한국 등 장기적으로 봤을 때 시장을 우상향하기 때문에 국내 ETF 보유를 가지기 위해
2. 소액으로 분산 투자
- 한 가지 종목을 투자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하지만, ETF(인덱스펀드)는 그럴 필요가 없음.
- 낮은 운용수수료(일반 펀드에 비해 저렴한 운용수수료 Kodex 200 : 0.15%, Tger 200 : 0.05%)
"매달 10만 원 가량의 ETF를 구매할 예정입니다."